기사 메일전송
명화와 안경/ 獨 미술 표현주의의 대부, 게오르게 그로츠(1)
  • 다비치안경체인 부회장 박성훈
  • 등록 2022-10-31 19:26:20

기사수정

<사회의 기둥들> 1926년, 캔버스에 유채, 200×108cm, 게멜데갤러리, 베를린, 독일. 이 작품은 세계 제1차 세계대전 발발의 주범인 독일이 전쟁에서 패배한 뒤 1919년 급조된 바이마르공화국의 현실을 그리고 있다. 

 

부패하고 무지한 당시의 5대 권력집단에 대한 혐오감을 적나라하게 고발한 이 작품은 독일의 암울한 미래에 대한 예언적 작품이기도 하다. 

 

먼저 그림 하단의 ‘하켄크로이츠(갈고리 십자가)’가 새겨져 있는 기병대 제복을 입고 외알 안경을 낀 남자는 골수 군국주의자인 나치당원이다. 

 

그 앞쪽에 안경을 쓴 채 머리에 요강을 둘러쓰고 가슴엔 팔꿈치로 신문을 한 움큼을 안고 있는 남자는 히틀러정부의 홍보총괄담당이다. 

 

역시 안경을 끼고 똥을 머리에 가득 채운 오른쪽 남자는 다수당인 사민당 소속의 무식한 국회의원이다. 

 

그 위로 이 작품에서 유일하게 안경을 끼지 않은 인물은 교회 성직자다. 

 

오른쪽 위의 안경을 끼고 깊이 눌러쓴 철모의 남자는 전형적인 독일 군부를 나타내고 있다.

 

이 작품에서 화가 게오르게 그로츠(1893~1959)가 갖고 있는 안경에 대한 당시 사람들의 인식에서 매우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우선 5대 부패계급들 가운데 성직자만 빼고 부패계급의 대표 인물들 모두 안경을 착용한 모습으로 표현했다는 면에서 당시 안경이 매우 귀하고 비싼 물건이어서 재력이 있는 부르주아 계급들의 전유물로써 부패와 탐욕의 대상으로 안경을 인식했다는 사실이다. 

 

그로츠는 이런 이유로 1933년 예술분야에서 나치로부터 박해받는 첫 희생자가 되었다. 

 

퇴폐미술이라는 이유로 그의 많은 작품이 몰수되어 불태워지면서 결국 그는 미국으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고, 1938년에 미국시민으로 지내다 2차대전이 끝난 후 고향 베를린에서 1959년 사망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중국계 이커머스, 한국 안경시장 파상 공세 초저가를 무기로 한국시장을 빠르게 잠식하고 있는 중국계 전자상거래(이커머스) 업체들의 마구잡이식 판매가 안경원은 물론 국내 소비시장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계 이커머스에서 모바일과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국내 법규에 저촉되는 다양한 상품을 무차별적으로 판매하고 있는 것.  특히 ...
  2. 2024년도 안경사 보수교육 일정 발표 ㈔대한안경사협회가 지난 20일 홈페이지 공지를 통해 ‘2024년도 안경사 보수교육’에 대한 일정을 발표했다.  올해 상반기 보수교육은 3월 8일 인천시안경사를 시작으로 4월 28일 전남안경사까지 16개 시도안경사회 별로 치러질 예정이다.  교육 이수를 위해선 각 안경사회를 대상으로 교육신청 후 현장 보수교육에 참가하면 되는데, ...
  3. 백내장수술 보험금 분쟁은 현재진행형 백내장 수술이나 도수치료와 관련된 보험금을 둘러싼 소비자와 보험사 간의 분쟁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분쟁조정 신청 건수는 현대해상, 소송 제기 건수는 삼성화제가 최대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2023년 생명보험사와 손해보험사를 대상으로 하는 분쟁조정 신청 건수는 총 4만 739건으로 전년대비 6.7% ...
  4. 백내장 혼합진료 금지, 안과의사들 발끈 급여와 비급여를 함께 시행하는 이른바 ‘혼합진료’의 대표적인 사례로 지목되는 백내장과 도수치료 등의 실손보험금 금지를 본격 시행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지난달 29일 민주노총•한국노총에서 주최하고 국민건강보험노조가 주최한 ‘혼합진료 금지, 왜 필요한가’ 토론회가 국회의원회관에서 개최돼 혼합...
  5. 안경사를 진정한 전문가로 만드는 안경 피팅②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 팔만대장경은 목판이 81,137매(枚)이고, 한 판에 644자씩 새기어 약 5,200만자가 넘게 담겨 있다.  고려 고종 23년인 1236년에 몽골의 침입을 불력으로 막아내기 위해 조판에 착수해 16년만인 고종 38년(1251)에 완성했다. 팔만대장경은 1천명의 각자공이 만들었는데, 모든 각자공은 한 자를 새길 때마다 3번씩 절을 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