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 인공수정체는 타깃 바이오마커와의 반응으로 수축해 좁아진 하이드로겔 패턴을 기준격자와 겹쳤을 때 생성되는 모아레 신호의 변화를 이용하는 원리로 바이오마커를 검출할 수 있다.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용인세브란스병원의 안과 지용우 교수, 강남세브란스병원 안과 이형근 교수팀이 연세대학교 공과대학 화공생명공학과•한국기계연구원 나노공정 연구실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각종 신경질환을 진단하는 스마트 인공수정체 기술 개발에 성공했다.
이번 개발로 그동안 시력개선 목적으로 사용하던 인공수정체에 진단 센싱 능력을 탑재해 눈을 통해 안과 질환 이외에 퇴행성 뇌질환 등 각종 신경질환의 바이오마커를 검출해 조기 진단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
스마트 인공수정체를 이용해 질병의 진행을 늦추거나 예방하고 적절한 치료시기를 결정할 수 있게 된 것이다.
연구팀의 지용우 교수는 “초고령사회 진입으로 노인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백내장 등 노인성 안질환과 알츠하이머 치매 등 퇴행성 뇌질환 등은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앞으로 스마트 인공수정체가 퇴행성 뇌질환을 예방하고 조기 진단하는데 큰 역할을 수행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에 개발된 스마트 인공수정체 관련 기술을 국내와 해외에 특허출원한데 이어 국내 유일의 인공수정체 제조회사인 ㈜고려아이텍과 산학연병 협력을 통해 3년간 약 30억원 규모의 ‘나노커넥트 사업’을 수주하며 향후 원천기술의 상용화를 가속화할 계획이다.
문의 1899-1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