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안경사 권유로 콘택트 착용한다
  • 허정민 기자
  • 등록 2024-05-16 17:10:57

기사수정
  • 美 CLI, 설문 결과 착용 거부 제1 이유는 ‘착용 공포’
  • 전문가 역할 중요

CLI 홈페이지에 공개된 관련 보고서 일부.미국의 콘택트렌즈연구소(CLI)가 지난달 30일 콘택트렌즈 착용자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 보고서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안경 착용자의 47.8%가 콘택트렌즈 사용에 높은 관심을 보였으며,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데 영향을 끼친 주된 동기는 ▶검안사와 안과의사(39%) ▶안경사(34.3%) ▶친구와 가족(19.7%) ▶온라인 등의 관련광고(7%)의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콘택트렌즈를 선택하는 가장 큰 이유는 ▶안경으로부터의 자유로움(41%) ▶사용 편의성(30.2%) ▶좀 더 향상된 외모(28.8%) 등을 꼽았고, 반대로 콘택트렌즈 착용을 고려하지 않는 이유로는 ▶눈동자를 만지는 것에 대한 공포(32.8%) ▶감염 우려(28.4%) ▶경제성(15.2%) ▶안구건조증(13.7%) ▶난시(9.9%) 등으로 조사됐다. 

 

CLI의 스탄 로거스키 전무이사는 “이번 조사를 통해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이유가 검안사와 안경사 등 안보건 전문가들의 역할이 절대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안경사는 많은 사람들이 콘택트렌즈를 회피하는 이유, 즉 콘택트렌즈 착용의 두려움으로 시도조차 못하는 것에 유의해 시력교정자들에게 콘택트렌즈 착용이 절대 어렵지 않음을 인지시킬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 조사는 CLI의 의뢰로 지난 2월 1일부터 9일까지 안경 전용 착용자, 신규 콘택트렌즈 착용자, 이전 콘택트렌즈 착용자로 분류된 미국 성인 1,053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통해 실시됐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백내장 과잉진료로 적자폭 눈덩이 백내장 수술을 둘러싼 비급여 과잉진료가 불러온 갖가지 폐단으로 보험사들의 실손의료보험 손익이 갈수록 떨어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달 말 보험업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실손보험 상품을 판매하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사의 2023년 실손보험 손익이 1조 9,738억원 적자로 나타나 2022년도의 1조 5,301억원 보다 무려 적자가 22.5...
  2. 부산시안경사회 정정보도 지난 5월 본지에선 부산시안경사회 안경사의 투병 소식을 기재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소통이 부족한 상태에서 발표된 기사로, 당사자의 힘들었을 심정과 잘못된 부분에 대한 양해를 구하고자 정정기사를 기재한다.  부산시안경사회 회원의 투병 소식과 성금 전달 내용이 당사자의 동의 없이 안경전문신문과 SNS 등에 기사화 되면서 원...
  3. 백화점의 선글라스 무차별 할인판매… 안경원 ‘녹다운’ 국내 주요 백화점과 면세점들이 본격적인 여름 시즌을 앞두고 대규모 선글라스 할인판매에 나서고 있다.  신세계 센텀시티는 오는 16일까지 여름을 테마로 한 ‘얼리 바캉스 페어’를 개최해 명품 선글라스를 최대 20% 할인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고, 롯데백화점은 ‘선글라스 시즌 팝업매장’을 오는 7월 말까지 운영...
  4. 안경사시험 응시자격에 ‘현장실습 이수’ 명문화한다 최근 국내 안경광학과의 실습시간을 160시간 또는 320시간으로 제도화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10월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발의한 ‘보건의료기사의 현장실습과목 이수 의무화’ 등을 규정하는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일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안경광학과의 실습시간을 늘려야 한다는 목...
  5. ‘스마트글라스 강자의 귀환인가?’ 세계적인 빅테크 대표기업 Google이 소비자용 스마트글라스 시장에 복귀할까.  지난달 30일 구글은 미국의 증강현실(AR) 헤드셋 제조업체인 매직리프社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주요외신들은 ‘지금껏 메타와 애플 등에 밀렸던 구글이 AR과 가상현실(AR) 시장으로 돌아올 것이란 강력한 신호’란 전망...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