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안경 상호의 어제와 오늘
  • 편집국
  • 등록 2010-10-06 16:56:02

기사수정
안경원 상호가 시대상을 나타내서 매우 흥미롭게 느낀다. 이 땅에 안경방이 생긴 이래 ‘○○堂’이라는 상호를 붙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방(房)과 당(堂)은 안경 상호 뿐만 아니었다. 금, 은, 시계 등 정밀 세공을 하는 업종에 대체로 쓰이는 상호였다.

안경렌즈 제작기술은 도제식(徒弟式)으로 전수되었다. 장인적 숙련이 요구되는 업종이었다. ‘방’과‘당’이외에 쓰이던 상호는 세브란스(severance)였다. 농업사회에서 공업화가 이뤄지고, 산업사회로 발전되면서 안경업도 전문 기술업으로 자리를 굳히게 되었다.

따라서 안경 상호도 시대에 걸 맞는 외국명이거나 유명 지명을 붙이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태리, 서독, 밀라노(milano), 라데팡스(la defense)가 그것이다. 그밖에 아도니스(adonis), 마이스타(meister), 윙크(wink) 등도 있다. 안경업계도 일반 업종과 마찬가지로 시장경제의 범주에 들어가지 않을 수 없는 시대적 요청이 있었다. 프랜차이즈(franchise)가 바로 그것이다. 여기에 수반해서 안경 상호도 가지가지 기발했다. 휴대폰의 첫 숫자 세 자리가 있는가 하면 안경나라, 눈사랑, 갤러리(gallery) 등도 있다.

그러나 시장경제라는 무한경쟁에 진입하더라도 안경 업종의 특수한 패러다임의 콘텐츠는 깊이 들어가면 예나 지금이나 변함이 없다 하겠다. 안경의 조제, 가공 기술은 장인적 숙련이 있어야 되는 것이 바로 그것이다.

기계화가 장인이 설 자리를 앗아가고, 자동화가 수공업적 재능의 앉을 자리를 좁혔다고 하는 현대지만 자기가 하는 ‘일’에 올곧은 정신으로 몰입하는 장인정신만은 인간이 지녀야 하는 고귀한 가치인 것이다. 안경은 기술적으로 고객에게 편하고, 가볍게, 그리고 안전하게 제공해야 되는 기본 외에 고객의 심리적 기대감을 사전에 파악·감지하는 인문학적 소양도 쌓아가야 한다.

안경 상호의 변천을 보노라면 그 시대·시애의 표상(表象)을 느끼게 한다. 무한경쟁을 하는 시장경제의 광장에서도 글로벌한 문화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는 전문기술 못잖은 성실과 근면이라는 내공을 쌓아 나가야 한다. 그것은 바로 인간 노력의 정화(精華)이기 때문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경 서비스가 세계 최고인 국가는 ‘대한민국’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번쯤 반드시 찾아야할 명소로 유명한 대한민국 안경원.  국내 안경원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하나 같이 한국 안경원의 무료 시력검사와 정밀 처방과 조제, 또 전문적인 안경피팅을 제공하면서도 최저가격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은 시력검사부터 안경 착용까...
  2. 코로나 백신 접종하면 포도막염 재발한다? 예전에 포도막염을 앓았던 환자의 경우 코로나19 예방접종하면 포도막염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한양대학교 의대 안과연구실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 데이터베이스에서 과거 포도막염 병력을 가진 환자 중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은 473,934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최대 16.8%...
  3. 건강보험 보장률 전년보다 소폭 상승 2022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이 전년도보다 소폭 상승한 65.7%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2022년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의원을 중심으로 비급여 본인 부담률이 하락하면서 2022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이 전년보다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정 본인부담률은 19.7%로...
  4. 어린이 물안경 해외직구 못하나? 정부가 국가인증통합마크(KC)를 받지 못한 제품의 해외 직접구매를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사흘 만에 철회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해외 직구품목에서 제외했던 KC인증을 받지 못한 어린이용 안경테와 선글라스, 어린이용 물안경 등 어린이제품법에서 규제하는 34개 품목을 종전처럼 해외직구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지난 16...
  5. 대안협, 협회장 공약 차질 없이 추진 ㈔대한안경사협회(협회장 허봉현[사진])의 제22대 집행부가 출범과 함께 협회장 직선제 선출, 회원소통 강화 등 협회장 공약사항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협회장 직선제 선출 문제는 지난 9일 제1차 직선제 추진위원회(위원장 이효재)를 개최해 제반 사항을 검토한 후 관련 설문조사를 지난 29일까지 진행했다.  또한 대안협은 회원 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