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미완의 국내 안경사법… 말레이시아에 답 있다
  • 김태용 기자
  • 등록 2024-04-15 18:47:09

기사수정
  • 말레이시아는 옵토메트리스트로 상향한 후 약물까지 허용
  • 국내는 검안사 업무 수행해도 검사항목과 장비 사용 제한 받아

말레이시아의 안경사 관련법이 한국 안경사들이 획득•수행해야 할 모범 정답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한국 안경사들이 말레이시아 안경사법을 최종 목표로 삼아도 부족함이 없을 만큼 확실하게 업무 범위를 보장하고 있기 때문인 것.

 

현재 세계의 대다수 국가들은 눈과 관련한 전문가를 ①눈의 질환을 치료하는 안과의사 ②굴절이상과 양안시 이상을 담당하는 옵토메트리스트(검안사) ③안경•콘택트렌즈의 피팅과 판매를 담당하는 옵티션(안경사)으로 구분하고 있다. 

 

우리나라 안경사는 현재 검안사 직군(職群)과 구분되지 않고 옵토메트리스와 옵티션의 중간 단계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세계검안사협회(WCO, World Council of Optometry)도 눈과 관련한 업무에 따라 직군을 4개로 구분하고 카테고리 2에 해당하면 검안사로 호칭하고 있다. 

 

이런 근거에 의거해 한국의 안경사는 말레이시아나 호주, 독일, 미국처럼 WCO가 제시한 검안사 업무를 수행하면서도 업무범위는 이들 국가들과 다르게 실무에 필요한 검사항목과 장비의 사용을 제한받고 있으며, 의료서비스에 대한 비용 보조와 관련 실무자의 업무를 의료행위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다. 

 

더구나 국내 안경사는 적정 인력의 수급관리 체계를 갖추지 못함으로써 수요와 공급의 불일치로 치열한 경쟁에 휘말려 있다. 

 

 

말레이시아는 4년제 졸업 후 검안사 취득

국내 안경사의 신분이 법제화된 때는 35년 전인 1989년이다. 

 

의료기사법 내에 일명 ‘안경사관련법’이 이 해에 공포•시행된 것이다. 

 

당시 국내 안경인은 이때를 분기점으로 일반 안경인에서 국가공인 안경사로 새롭게 자리매김했다.

 

그러나 국내 안경사 관련법은 법률이 시행된 지 35년이라는 오랜 기간이 지났음에도 콘택트렌즈의 안경원 단독판매 법률이 2012년에 개정된 이외에는 단 하나도 변한 것이 없다. 

 

지난 35년간 시대가 3차산업에서 4차산업으로 급변하는 시간에도 안경사의 업무범위는 꼼짝 않고 제자리에 머물러 있는 것이다. 

 

이와 달리 말레이시아는 1991년(Optical Act 1991)에 등록 요건과 실무 필요성 등이 명시되어 등록에 인정되지 않는 학위를 소지한 경우에는 전문자격평가(PQA, Professional Qualifying Assessment)에 합격하도록 법을 개정했다. 

 

즉 말레이시아안경사협회(AMO)에서 옵토메트리스트 제도를 신설하기 위해 학제를 4년제로 통일시킨 동시에 기존 안경사들에게 별도의 교육을 실시해 옵토메트리스트로 상향시켰다. 

 

말레이시아가 과거에는 우리나라 안경사와 동일하게 옵토메트리스트 제도 없이 업무범위가 비슷했지만, 1991년에 법 개정을 통해 유럽의 검안사에 준하는 업무범위를 확보해 지금은 미국, 호주와 유사하게 검사를 위한 약물까지 허용하고 있다. 

 

현재 말레이시아의 옵토메트리스트 면허는 별도의 시험과정 없이 옵토메트리 관련 4년제 대학교를 졸업함과 동시에 면허증을 취득한 후 보건복지부 산하의 위원회에 등록된다. 

 

또 옵티션은 핑크(pink)와 블루(blue) 2개의 등급으로 구분되고, 광학위원회에 등록해야 한다. 

 

이 같은 규정은 말레이시아 보건부 산하기관인 광학위원회(Malaysian Optical Council)에 의해 규제되고, 이 위원회는 검안사와 안경사의 실무 기준과 자격을 감독한다.

 

 

국내 안경사는 업무범위 넓히는 법 개정해야

대한안경사협회는 지난해부터 안경사의 전문성 강화를 통한 업무범위 확대를 목적으로 전문안경사 양성과정을 개설•운영하고 있다. 

 

안경사의 전문성 강화를 통한 업무범위의 확대를 위해 사전작업에 나선 것이다.

 

그러나 전문안경사 양성과정을 개설한 것으로는 말레이시아 같은 안경사법을 만들기가 쉽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국민들로부터 국내 안경사의 전문성이 크게 인정받지 못하고 있을뿐더러 안경사의 이해 당사자인 안과의사들의 반발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다만 분명한 점은 국내 안경사들이 급변하는 미래에 대응하려면 업무범위 확대를 위한 법 개정을 끊임없이 추진해야 한다는 점이다. 

 

35년 전에 제정•시행 중인 안경사 관련법을 인공지능 시대까지 유지하는 것은 침체와 퇴보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지금 당장은 결코 쉽지 않겠지만, 안경사의 밝은 미래를 위하려면 쉼 없이 과감하게 법을 개정하려는 노력을 잠시도 멈추어서는 안 된다


출처: 옵틱위클리

TAG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소비자와 일반 안경원 이간질하는 안경사 유튜버 기승 전국의 안경사들이 일선 안경원을 파렴치한 영업장으로 매도하는 유튜브 방송을 수시로 올리는 일부 안경사 유튜버들에 크게 분노하고 있다.  몇몇 안경사 유튜버들이 자신들만이 특별한 전문 기술과 안경가격을 서비스하는 것처럼 자랑하며 전국의 일반 안경원을 교묘하게 깎아내리는 섬네일을 유튜브에 올리는 것에 일선 안경사들이...
  2. 3대 실명질환 진료비 1조원 돌파 황반변성•녹내장•당뇨병성망막병증 등 3대 실명질환의 한 해 진료비가 1조원이 넘은 것으로 나타나 국가건강검진의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지난 3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의 안상훈 의원(국민의힘)이 국민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실명을 유발하는 3대 안과질환(황반변성•녹내장•당뇨병성망막병.
  3. 홍준표 대구시장, 미국 메타 찾아 한국안경 홍보 대구광역시 홍준표 시장이 지난달 30일 미국 실리콘밸리를 대표하는 빅테크 기업 Meta와 세계 최대 스타트업 육성기관인 PLUG AND PLAY(P&P) 본사를 방문해 기업 트렌드의 안내를 받은데 이어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국내 단체장으로는 처음으로 세계 최대 빅테크 기업인 메타 본사를 방문한 홍준표 시장을 맞은 메타의 앤디 오코넬 부대표는 &...
  4. 서울서 ‘아이웨어 브랜드 쇼’ (재)한국안광학산업진흥원(원장 김종한)이 오는 11월 19일부터 20일까지 서울 서초구의 더케이호텔앤리조트 컨벤션 2층 그랜드볼룸에서 ‘2024년 아이웨어 브랜드 쇼’를 개최한다.  진흥원이 개최하는 이번 행사는 한국안경산업고도화육성사업의 일환으로 열리는 행사로 안경테, 선글라스, 안경 액세서리 등의 50개사의 124개의 브랜...
  5. 2025 미도사무국, 참관객 등록 공식 개시 세계 2대 광학전의 하나인 이탈리아밀라노국제광학전(미도)이 2025년 행사를 앞두고 참관객 등록을 공식적으로 개시했다.  지난 10일 미도사무국은 ‘2025년 2월 8일부터 10일까지 피에라밀라노 전시센터에서 열리는 2025 미도를 위한 언론 및 방문객 등록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사무국은 ‘우리는 이번 행사에서 전개하는 사...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