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내 안경산업의 잃어버린 20년
  • 허선
  • 등록 2024-06-28 23:47:49

기사수정

섬유산업은 안경처럼 불경기에 취약하기로 유명하다. 

 

원천 기술이 쉬워서 신흥국들이 달려들기 쉬운 산업의 하나다. 

 

우리나라도 1960년대 섬유산업에 많이 참여했으나 30년 후인 1990년대부터 탈(脫) 섬유에 나섰다. 

 

안경산업보다 일찍 성하다가 쇠퇴한 것이 섬유 염색산업이다. 

 

이런 섬유산업의 쇠퇴를 일본이라고 피해갈 수는 없는 일이다. 

 

일본 섬유의 대표 회사인 도레이社가 망할 것이라는 것은 누구나 쉽게 예상했다. 

 

하지만 도레이는 위기의 순간에 엉뚱한(?) 전략을 선택했다. 

 

남들처럼 생산지를 국내에서 임금이 싼 해외로 빼돌리지도 않았고 사업규모도 줄이지 않았다. 

 

오히려 경쟁업체들이 따라오지 못하게 원천 기술력을 높이는 연구 개발비를 크게 늘렸다. 

 

지금 당장 어려움은 크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성장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 아래 과감하게 투자한 것이다. 

 

그 결과 기능성 섬유 매출이 크게 늘어나 영업이익이 5배 가까이 늘어났다. 

 

도레이가 10년 뒤를 예측한 뒤 3년 단위로 목표를 체크하며 투자를 늘림으로써 회사를 더욱 탄탄하게 만든 것이다.

 

국내 안경산업이 쇠퇴기에 접어든 때는 2000년대 초반이다. 

 

중국의 안경산업이 스타트한 시기부터 국내 안경산업이 위축되기 시작한 것이다. 

 

그리고 20년이 지난 지금의 국내 안경산업은 ‘국산보다 중국제가 더 좋다’는 말까지 거침없이 나오는 상황에 맞닥트렸다. 

 

중국 안경산업이 승승장구할 동안 국내 안경산업은 도레이처럼 10년 장기 계획은 고사하고 하루하루 침체되는 모습을 걱정만 앞세웠을 뿐 무대책 무대응했을 뿐이다.

 

그러면 한국 안경산업은 영영 끝나는 것인가.

 

재도약을 이루는 정상 코스는 도전과 고진감래(苦盡甘來)이다. 

 

쓴 것을 씹고 씹어야 단맛이 난다는 법칙을 철저하게 따라야 재도약할 수 있다. 

 

안경 소재를 밤낮없이 개발하고, 디자인도 수없이 시행착오를 거듭하며 유행을 찾아내야 한다. 

 

살벌한 경쟁사회에서 경쟁이 없는 산업은 퇴보할 수밖에 없다. 

 

국내 안경 관련인은 일본 도레이처럼 10년 뒤의 목표를 세워 보자. 

 

서로 걱정만 한다고 이루어지는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지난 20년은 국내 안경계가 잃어버린 20년이다. 

 

또 다시 20년을 걱정만 앞세우고 세월만 보내면 국내 안경산업은 영영 끝이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백내장 과잉진료로 적자폭 눈덩이 백내장 수술을 둘러싼 비급여 과잉진료가 불러온 갖가지 폐단으로 보험사들의 실손의료보험 손익이 갈수록 떨어져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지난달 말 보험업계가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실손보험 상품을 판매하는 생명보험과 손해보험사의 2023년 실손보험 손익이 1조 9,738억원 적자로 나타나 2022년도의 1조 5,301억원 보다 무려 적자가 22.5...
  2. 부산시안경사회 정정보도 지난 5월 본지에선 부산시안경사회 안경사의 투병 소식을 기재한 바 있다. 그러나 이는 소통이 부족한 상태에서 발표된 기사로, 당사자의 힘들었을 심정과 잘못된 부분에 대한 양해를 구하고자 정정기사를 기재한다.  부산시안경사회 회원의 투병 소식과 성금 전달 내용이 당사자의 동의 없이 안경전문신문과 SNS 등에 기사화 되면서 원...
  3. 백화점의 선글라스 무차별 할인판매… 안경원 ‘녹다운’ 국내 주요 백화점과 면세점들이 본격적인 여름 시즌을 앞두고 대규모 선글라스 할인판매에 나서고 있다.  신세계 센텀시티는 오는 16일까지 여름을 테마로 한 ‘얼리 바캉스 페어’를 개최해 명품 선글라스를 최대 20% 할인하는 이벤트를 진행한다고 밝혔고, 롯데백화점은 ‘선글라스 시즌 팝업매장’을 오는 7월 말까지 운영...
  4. 안경사시험 응시자격에 ‘현장실습 이수’ 명문화한다 최근 국내 안경광학과의 실습시간을 160시간 또는 320시간으로 제도화하는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이는 지난해 10월 서영석 의원(더불어민주당)이 대표발의한 ‘보건의료기사의 현장실습과목 이수 의무화’ 등을 규정하는 의료기사등에관한법률 일부개정안이 국회 본회의를 통과하면서 안경광학과의 실습시간을 늘려야 한다는 목...
  5. ‘스마트글라스 강자의 귀환인가?’ 세계적인 빅테크 대표기업 Google이 소비자용 스마트글라스 시장에 복귀할까.  지난달 30일 구글은 미국의 증강현실(AR) 헤드셋 제조업체인 매직리프社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주요외신들은 ‘지금껏 메타와 애플 등에 밀렸던 구글이 AR과 가상현실(AR) 시장으로 돌아올 것이란 강력한 신호’란 전망...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