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깐깐하지만 컬러렌즈는 미개척 시장, 이스라엘
  • 편집국
  • 등록 2013-06-30 19:26:27

기사수정
  • 한국제품 2011년부터 수출 급신장… 소비의 60%는 현지 제조품, 40%는 수입품이 점유
 
콘택트렌즈 세계 동향④ / 이스라엘 편

시장 현황

■ 이스라엘의 콘택트렌즈 및 솔루션 시장의 규모는 약 2억2,500만 달러로 추정되는데, 그 중 콘택트렌즈 시장 규모는 약 5,000만~6,000만 달러로 보임.
-이스라엘 콘택트렌즈의 약 60%는 현지 제조이며, 40%가 수입품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음.
-콘택트렌즈 이용자 수는 2만 명으로 추정되며, 렌즈의 80%가 상점에서 판매되고 20%는 약국에서 판매됨.
-주요 수요로는 소프트 콘택트렌즈가 90%로 압도적이며, 그 외에 실리콘 하이드로겔과 multifocal(8%)의 경우 수요 증가세임. 컬러 콘택트렌즈의 수요는 매우 낮은 것으로 보임.

■ 콘택트렌즈(HS 코드 9001.3000)의 수입이 줄곧 상승세를 보임. 이스라엘의 주요 콘택트렌즈 수입국은 미국으로 지난 2011년도 502만 달러를 기록함. 그 뒤를 이어 독일 388만 달러, 영국 382만 달러 순임.
-한국으로부터는 2009~2010년에 비해 지난 2011년도 11만 달러를 기록하며 상승세를 보임.
 
■ 콘택트렌즈(HS 코드 9001.3000) 관세율은 12%.

■ 지난 2012년 5월 이스라엘은 ‘의료장비 법'을 승인함. 이 법에 의하면 이스라엘에 의료기기 수입•판매 및 공급을 규정함.
-이 법에 적용되는 의료기기로는 의료치료에 사용되는 모든 장비•기기 및 운영에 필요한 모든 장비 혹은 컴퓨터, 소프트웨어 포함, 화학물질, 생명공학제품, 생물제품도 기기에 포함되며, 그 밖에 콘택트렌즈도 장비로 포함됨.
-또한, 이스라엘에 의료용품을 수입 및 판매하기 위해서는 이스라엘 보건부에 의료기기 등록을 규정하며, 등록이 필요 없는 의료용품 치실, 붕대, 콘돔 등에 관해서는 절차를 간소화함.
-미국, 캐나다, 영국, 벨기에, 독일, 덴마크, 노르웨이, 호주 및 뉴질랜드에서 사용이 허용된 의료용품은 이스라엘에서도 별도의 승인 없이 자동 등록되고 판매 및 수입이 허용됨.

시사점
■ 이스라엘의 콘택트렌즈 수입 규모가 지난 2009년 대비 2011년에 증가세를 보이며 수요가 증가함. 또한, 지난 2009년도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8,000달러였으나 2011년 11만 달러로 크게 증가함. 따라서 우리나라 기업의 시장진출 확대 기회가 엿보임. /텔아비브 무역관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경 서비스가 세계 최고인 국가는 ‘대한민국’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번쯤 반드시 찾아야할 명소로 유명한 대한민국 안경원.  국내 안경원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하나 같이 한국 안경원의 무료 시력검사와 정밀 처방과 조제, 또 전문적인 안경피팅을 제공하면서도 최저가격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은 시력검사부터 안경 착용까...
  2. 코로나 백신 접종하면 포도막염 재발한다? 예전에 포도막염을 앓았던 환자의 경우 코로나19 예방접종하면 포도막염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한양대학교 의대 안과연구실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 데이터베이스에서 과거 포도막염 병력을 가진 환자 중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은 473,934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최대 16.8%...
  3. 건강보험 보장률 전년보다 소폭 상승 2022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이 전년도보다 소폭 상승한 65.7%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2022년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의원을 중심으로 비급여 본인 부담률이 하락하면서 2022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이 전년보다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정 본인부담률은 19.7%로...
  4. 어린이 물안경 해외직구 못하나? 정부가 국가인증통합마크(KC)를 받지 못한 제품의 해외 직접구매를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사흘 만에 철회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해외 직구품목에서 제외했던 KC인증을 받지 못한 어린이용 안경테와 선글라스, 어린이용 물안경 등 어린이제품법에서 규제하는 34개 품목을 종전처럼 해외직구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지난 16...
  5. 대안협, 협회장 공약 차질 없이 추진 ㈔대한안경사협회(협회장 허봉현[사진])의 제22대 집행부가 출범과 함께 협회장 직선제 선출, 회원소통 강화 등 협회장 공약사항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협회장 직선제 선출 문제는 지난 9일 제1차 직선제 추진위원회(위원장 이효재)를 개최해 제반 사항을 검토한 후 관련 설문조사를 지난 29일까지 진행했다.  또한 대안협은 회원 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