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또 콘택트 ‘함수율•DK’표기 논란
  • 편집국
  • 등록 2017-04-16 20:55:00

기사수정
  • 소비자연맹, ‘렌즈를 많이 사용하므로 기준 표시해야’
  • 업계,‘기준 표시는 세계에 유례가 없다’


한국소비자연맹(회장 강정화)이 컬러콘택트렌즈의 함수율 및 산소투과율의 표시 기준이 필요하다고 주장해 논란이 되고 있다.

 

소비자연맹은 지난 4일 보도자료를 통해 컬러 콘택트렌즈 수요가 증가함으로써 이의 사용과 관련한 합병증이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는 렌즈 표면의 거칠기, 색소층의 위치, 낮은 산소투과율 및 착색제의 용출 등이 지적되어 눈에 위해가 높아질 위험성이 크다현재 시판 중인 컬러 콘택트렌즈 9종을 조사했는데, 색소층이 렌즈 재질 내에 있는 것은 조사대상 9개 제품 중 2개 제품이었고 7개 제품은 렌즈의 표면에 색소층이 있었고, 제품 구매 시 소비자가 참고할 수 있는 정보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컬러 콘택트렌즈에 대한 정확한 정보 제공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소비자연맹의 관계자는 최근에는 한류열풍으로 인해 아이돌 가수 및 배우들이 착용하는 컬러렌즈 정보가 블로그, SNS 등을 통해 확산되면서 해외 관광객들의 구매도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며 영국과 미국에서는 전체 콘택트렌즈 착용자 중 컬러 콘택트렌즈 착용자가 1% 이내인데 반해 국내에서는 약 30%로 컬러 콘택트렌즈를 착용하는 비율이 매우 높음으로 함수율과 산소투과율 등의 정확한 정보표시로 소비자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국내 콘택트렌즈 생산유통업체는 소비자연맹의 이 같은 입장에 대체적으로 황당하다는 반응이다. 국내에서 생산 유통되는 콘택트렌즈는 식품의약품안전처의 ISO 13485 규정에 의해 50여 가지 항목의 테스트를 통과한 안전한 제품으로 여기에 함수율과 산소투과율을 추가 기재하라는 것은 세계 어느 나라에도 찾을 수 없다는 주장이다.

 

대한콘택트렌즈제조협회(회장 강응태)의 한 관계자는 콘택트렌즈의 일반적인 원재료로 쓰이는 DK10의 헤마 재질이 안전하다고 확인된 것은 1960년대 후반으로써 DK값은 10정도만 되도 아무런 문제가 없다인체에 중요한 비타민도 하루 10mg 이상을 먹으면 나머지는 쓸모없이 소변으로 빠져나가는 것처럼 DK값이 높을수록 제품이 좋다는 정보는 잘못된 상식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특히 DK 수치를 높이기 위해서는 실리콘 함유를 높일 수밖에 없는데, 이는 곧 콘택트렌즈의 착용감을 포기하라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계속해서 그는 원데이나 1개월용 등 용도에 따라 DK와 함수율의 비율이 다른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는데, 이런 부분을 무시하고 무조건 DK와 함수율 수치가 중요하니 표기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은 기본적으로 DK와 함수율의 상관관계를 모르고 하는 말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소비자연맹는 이번 보도자료를 통해 조사대상 9종 모두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인정함으로써 컬러 콘택트렌즈가 품질에 아무런 하자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마치 심각한 문제를 발견한 것처럼 DK와 함수율 표시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대국민에게 홍보하는 것은 국내 콘택트 업계를 고사시키는 처사라는 것이 업계의 주장이다.

 

경남의 한 콘택트렌즈 제조업체 대표는 지난해 식약처에서 의료기기와 관련된 기준규격 설정 당시 업체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관련사항을 표기하지 않기로 정했는데, 뒤늦게 소비자연맹이 이를 다시 거론하는 것은 사리에 맞지 않다솔직히 우리 생산업체들은 이번 소비자연맹의 발표가 안과의사 단체들의 입김이 아니면, DK 수치의 표기를 즐겨하는 외국계 콘택트렌즈 업체들의 로비 때문이 아니겠느냐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의 02)795-8426

TAG
148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안경 서비스가 세계 최고인 국가는 ‘대한민국’ 한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번쯤 반드시 찾아야할 명소로 유명한 대한민국 안경원.  국내 안경원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하나 같이 한국 안경원의 무료 시력검사와 정밀 처방과 조제, 또 전문적인 안경피팅을 제공하면서도 최저가격에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특히 외국인 관광객들은 시력검사부터 안경 착용까...
  2. 코로나 백신 접종하면 포도막염 재발한다? 예전에 포도막염을 앓았던 환자의 경우 코로나19 예방접종하면 포도막염이 재발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되고 있다.  최근 한양대학교 의대 안과연구실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질병관리청 데이터베이스에서 과거 포도막염 병력을 가진 환자 중 코로나19 예방접종을 받은 473,934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최대 16.8%...
  3. 건강보험 보장률 전년보다 소폭 상승 2022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이 전년도보다 소폭 상승한 65.7%로 나타났다. 지난 17일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발표한 ‘2022년도 건강보험환자 진료비 실태조사’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의원을 중심으로 비급여 본인 부담률이 하락하면서 2022년도 건강보험 보장률이 전년보다 1.2%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법정 본인부담률은 19.7%로...
  4. 어린이 물안경 해외직구 못하나? 정부가 국가인증통합마크(KC)를 받지 못한 제품의 해외 직접구매를 금지하겠다는 방침을 사흘 만에 철회했다.  이에 따라 정부가 해외 직구품목에서 제외했던 KC인증을 받지 못한 어린이용 안경테와 선글라스, 어린이용 물안경 등 어린이제품법에서 규제하는 34개 품목을 종전처럼 해외직구에서 구입할 수 있게 됐다.  정부는 지난 16...
  5. 대안협, 협회장 공약 차질 없이 추진 ㈔대한안경사협회(협회장 허봉현[사진])의 제22대 집행부가 출범과 함께 협회장 직선제 선출, 회원소통 강화 등 협회장 공약사항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협회장 직선제 선출 문제는 지난 9일 제1차 직선제 추진위원회(위원장 이효재)를 개최해 제반 사항을 검토한 후 관련 설문조사를 지난 29일까지 진행했다.  또한 대안협은 회원 소...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