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美 안과학회, 청색광 무해성 주장
  • 김태용 기자
  • 등록 2020-11-14 10:10:34
  • 수정 2020-11-26 15:22:17

기사수정
  • ‘청색광 유해성 입증 못했다’ 발표
  • 대다수 연구팀은 청광 유해성에 한목소리


청광 차단이 필요 없다는 주장이 제기돼 논란이 되고 있다.


최근 미국안과학회(AAO)청색광이 과연 위험할까하는 정례보고서를 통해 근래 청색광을 차단하는 안경이 큰 주목을 받고 있다해당 광고는 청색광이 눈에 많은 문제들을 일으킬 수 있다고 주장하지만, 실제로 청색광이 그 같은 문제를 일으킨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에 대한 반론도 적지 않다.


올해 초 미국 인디애나대학교 연구팀은 회사 경영자 63명과 콜센터 상담원 67명에게 청광차단 안경의 효과를 시험한 결과 잠자리에 들기 전에 청광차단 안경을 쓰면 일반 안경을 썼을 때보다 수면의 질과 다음 날 업무 수행력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확인했다.


연구팀의 관계자는 수면을 저해하는 청광을 차단하는 청광차단 안경은 생리적인 암흑 상태를 유도해서 수면의 질과 양을 개선할 수 있고, 따라서 청광차단 안경은 업무 수행력을 높이는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다고 전했다.


국내의 관련 전문가들 역시 AAO의 보고서에 반발하고 있는데, 세이코렌즈 교육팀의 한 관계자는 안과 분야에서 청색광은 고에너지 가시광선(high-energy visible light, HEV light)으로 분류돼 가시광선 중 380~500nm의 빛을 뜻하는데, 이는 노인성 황반변성의 원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청색광은 실제로 존재하고 안경렌즈가 그 빛을 어느 정도 차단해주는 것이 분명한 사실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대전의 한 안경렌즈 업체 관계자는 눈에 대한 전문가라면 청색광이 눈에 미치는 악영향을 뻔히 알 텐데 눈에 안 좋다는 직접적인 증거는 없다니 황당하다청색광이 무해할 수 있다는 주장은 사실을 왜곡하는 의심스런 주장이라고 비난했다.


한편 일본의 경우 2012년부터 안과의사들을 중심으로 블루라이트 연구회(Blue Light Society)’를 결성해 청색광의 유해성을 연구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알리는데 노력하고 있다.

0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국내 안경원의 연평균 매출은 ‘2억 1,850만원’ 국내 안경원의 2022년도 연평균 매출이 2021년보다 5.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말 국세청(청장 김창기)은 예비창업자 등이 생활업종 통계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콘텐츠의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국세통계포털(TASIS)을 통해 제공하는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콘텐츠에선 업...
  2. 미완의 국내 안경사법… 말레이시아에 답 있다 말레이시아의 안경사 관련법이 한국 안경사들이 획득•수행해야 할 모범 정답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한국 안경사들이 말레이시아 안경사법을 최종 목표로 삼아도 부족함이 없을 만큼 확실하게 업무 범위를 보장하고 있기 때문인 것. 현재 세계의 대다수 국가들은 눈과 관련한 전문가를 ①눈의 질환을 치료하는 안과의사 ②굴절...
  3. 봄철 ‘항히스타민제’ 과용 주의 당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지난달에 봄철 꽃가루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의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항히스타민제’의 올바른 사용정보를 공개했다.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매개체인 ‘히스타민’의 작용을 막아 콧물, 재채기 등을 완화하는데 사용되며, 일반의약품...
  4. 망막박리 치료하는 인공 유리체 개발 망막박리 치료를 위한 인공 유리체가 개발되었다.  지난 1일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동아대학교병원 합동연구팀은 망막박리 치료에 알지네이트를 활용하는 연구결과를 과학 및 임상적 응용을 다루는 국제저널인 「Biomaterials」에 발표했다.  해당 솔루션은 해초에서 추출한 천연 탄수화물을 기반으로 하는데, 유리체는 수정...
  5. 혈당 측정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눈물의 생체지표를 통해 정확히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가 개발됐다. 지난 6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김자영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당뇨병은 대부분의 신체 부위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실시간 혈당 측정은 치료에 매우 중요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