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세균 감염의 주원인은 ‘소비자 부주의’
  • 김보라 기자
  • 등록 2021-02-16 11:37:39

기사수정
  • 건양대 등 5개대 안과 연구팀, 8년간 콘택트렌즈의 세균 감염 추적 결과 발표
  • 바른 사용 권고


콘택트렌즈를 사용할 때 겪을 수 있는 세균각막염의 가장 큰 원인이 이용자의 잘못된 사용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건양대학교 등 국내 5개 대학 의대와 서산의료원의 공동연구진이 지난 2000년부터 2018년까지 8년간 대전과 충청지역 5개 대학병원 안과에서 세균각막염으로 진단받은 환자 433명을 조사한 결과, 60세 미만 저연령군에서 가장 흔한 위험인자는 콘택트렌즈 착용(27.5%)이고, 그 다음이 외상 및 이물(27%)로서 이번 연구결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상당수가 렌즈를 유효기간이 지나도 사용해 세균 감염이 이뤄지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60세 이상 고연령군에서 가장 흔한 위험인자는 외상 및 이물(30.5%), 기존 안질환(9.5%) 순으로 조사됐다.

 

건양대 안과의 관계자는 하루용 렌즈면 하루만 사용하고 폐기해야 되고, 그 이상 사용하면 렌즈에 단백질 등 불순물이 잘 끼어 그곳에서 세균이 번식하기 쉽다따라서 밤에는 반드시 렌즈를 뺀 후 잠을 자고, 착용한 뒤에는 세척제로 반드시 닦아주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계속해서 그는 일부 어린 학생들이 불량 미용렌즈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안전성이 확립되지 않은 콘택트렌즈는 삽입된 색소가 녹아나와 각막 화상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반드시 허가받은 제품을 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세균각막염은 눈동자 가장 앞에 위치한 투명한 각막에 세균이 감염돼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으로 악화되면 각막이 하얗게 변하고, 심하면 구멍이 뚫려 수술하거나 실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질환이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인천시안경사회의 한 상임이사는 지금껏 콘택트렌즈 관련 안질환의 주요원인이 렌즈의 저품질과 안경사의 잘못된 사용설명이란 주장이 많았는데, 이번 연구로 오해를 불식하게 되어 기쁘다그러나 콘택트렌즈는 의료기사법에 명시된 만큼 안경사들은 콘택트렌즈 소비자들에게 보다 확실한 사용법 고지와 교육에 노력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TAG
127
  • 목록 바로가기
  • 인쇄


최신뉴스더보기
많이 본 뉴스더보기
  1. 국내 안경원의 연평균 매출은 ‘2억 1,850만원’ 국내 안경원의 2022년도 연평균 매출이 2021년보다 5.4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말 국세청(청장 김창기)은 예비창업자 등이 생활업종 통계를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는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 콘텐츠의 서비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국세통계포털(TASIS)을 통해 제공하는 ‘통계로 보는 생활업종’콘텐츠에선 업...
  2. 미완의 국내 안경사법… 말레이시아에 답 있다 말레이시아의 안경사 관련법이 한국 안경사들이 획득•수행해야 할 모범 정답인 것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한국 안경사들이 말레이시아 안경사법을 최종 목표로 삼아도 부족함이 없을 만큼 확실하게 업무 범위를 보장하고 있기 때문인 것. 현재 세계의 대다수 국가들은 눈과 관련한 전문가를 ①눈의 질환을 치료하는 안과의사 ②굴절...
  3. 봄철 ‘항히스타민제’ 과용 주의 당부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오유경)가 지난달에 봄철 꽃가루 등으로 인한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제의 사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항히스타민제’의 올바른 사용정보를 공개했다.  항히스타민제는 알레르기 증상을 유발하는 주요 매개체인 ‘히스타민’의 작용을 막아 콧물, 재채기 등을 완화하는데 사용되며, 일반의약품...
  4. 망막박리 치료하는 인공 유리체 개발 망막박리 치료를 위한 인공 유리체가 개발되었다.  지난 1일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과•동아대학교병원 합동연구팀은 망막박리 치료에 알지네이트를 활용하는 연구결과를 과학 및 임상적 응용을 다루는 국제저널인 「Biomaterials」에 발표했다.  해당 솔루션은 해초에서 추출한 천연 탄수화물을 기반으로 하는데, 유리체는 수정...
  5. 혈당 측정 스마트 콘택트렌즈 개발 눈물의 생체지표를 통해 정확히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콘택트렌즈가 개발됐다. 지난 6일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의공학교실 김자영 교수 등 공동연구팀은 실시간으로 혈당을 측정할 수 있는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개발했다고 발표했다. 그동안 당뇨병은 대부분의 신체 부위에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어 실시간 혈당 측정은 치료에 매우 중요한...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